마이너스 되도 올라갈거니 신경쓰지 말아야지 하지만 마이너스 수천 수억이 눈에 계속 보이면 어느순간 불면이 되는 경우가 많죠 멘탈은 사실 타고난 것도 있는 것 같아요 본인의 멘탈을 미리미리 잘 체크해둬야겠죠 그리고 타고난것도 있는거같습니다. 이게 좀 어쩔수없는거같긴한데 매사에 긍정적인분들이 물려도 더 잘버티더라구요ㅎㅎ 자라온환경이 사랑많이받고 긍정적이고 매사에 자신감있는사람들은 시장이 절망할때도 상대적으로 잘버티는거같습니다 선물 할때도 일희일비 하는 사람들이 금방 지치고 떠나고 하는 사람 들일 것입니다
코스피 지수가 8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수는 2520선까지이며 한달 만의 저점을 기록했습니다. 디스인플레이션을 보였던 미국 소비자물가가 잠시 둔화세가 정체된 분위기를 보이게 되고 대형주와 중형주, 소형주 역시 빠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음주는 또 어떻게 변화를 주게 될지 궁금하네요.
뉴욕 증시, 기술주 랠리로 일제 상승했지만 애플의 상승폭은 소폭에 그쳤고 MS는 1.86% 상승하며 또 사상최고치 주가를 달성 애플과의 시총차이가 좁혀졌다고 합니다. MS는 382.77달러를 기록, 시총이 2조8450억으로 늘었고 애플과 시총차이는 510억 달러까지 좁혀졌다고 하네요. 올해 초 MS 기세가 좋은 가운데 애플이 부진하면서 판도가 재밌어진 거 같네요
미국 게임 엔진업체 유니티가 1분기 안에 전체 직원의 25%에 해당하는 1800명을 해고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핵심사업에 집중하고 장기적인 성공과 수익성을 추구하기 위한 조치라고 하네요 문제는 이미 부정적 경제 추세를 이유로 22~23년 1100명 가량을 해고한 바가 있고 지난해 5월 600을 해고한 전적도 있어서 규모를 엄청 줄이고 있다는 걸 확실하게 보여주는 거 같네요. 사실 이뿐 아니라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도 감원하는 둥 굵직한 기업들도 몸집을 줄이고 있다는게 확실히 보이네요
예상 리스크 인플레이션의 예상보다 장기화 생성 AI 등 새로운 기술의 보급에 따른 새로운 리스크의 등장 지정학적 리스크의 표면화 2024년 전망 독자적인 기술력과 비즈니스 모델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기업들은 경제 전체보다 높은 매출 및 이익 성장이 기대됨 기업 실적은 사상 최대 이익, S&P 500 지수 역시 사상 최고치 경신 통화정책은 하반기에 완화적으로 전환될 전망 당분간 대형주가 시장을 주도, 하반기에는 소형주들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
ARKK 58% 상승! 아크인베스트 캐시우드 이제 다시 살아나나? 하고 착각했으나~ 하지만 5년 상승률 14%... 또륵 따흑흑 ㅠ
시장분석기관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폰의 10월 판매량이 지난해 동월보다 5% 증가했다고 합니다. 판매량 자체도 지난해 1월 이후 가장 많앗다고 하네요.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의 지속적인 회복세와 화웨이의 중국시장 복귀 인도 축제 시즌의 영향 등 신흥시장이 스마트폰 판매량의 반등을 주도 했다고 하네요. 참고로 3분기 전체 판매량 중 삼성전자가 20%를 차지했고 애플(16%), 샤오미(12%), 오포(10%), 비보(8%) 순이었다고 하네요
오늘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연내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베타 서비스를 출시 준비중이라고 하네요. 게임 방송 최적화 사용자 환경, 커뮤니티, 다시보기 서비스 기능을 탑재했으며, 1080p 화질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최근 글로벌 게임 스트리밍 업체 트위치의 경우 국내에서 해상도를 720p를 낮추고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한하는 등 국내 서비스 기능을 축소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 틈을 파고드는 느낌인가 보네요. 이와 관련해서 아프리카와 네이버 관련 주가도 요동 칠 거 같은데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지도 궁금해지네요
공매도 영향력이 어마어마하네요 한동안 에코프로가 이젠 끝난거 아니냐 이랬는데 다시 이렇게 날게 될 줄이야 에코프로 쥐고 있던분들 쾌재를 부르겠네요
887원 찍혔을 때도 웅성웅성 했던거 같은데 877원까지 보네요 이러다 진짜 850원까지 가는 거 아닌지 진지하게 더 떨어지면 엔화 좀 집어 놓고 이참에 일본 여행도 다녀오면 좋을 거 같네요
최신글
인기글